대한성공회의 역사
대한성공회 탄생 - 고요한 주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공회가 소개된 것은 중국에서 파송된 중국인 전도사 두 명이 김해를 중심으로 경상남도 일대에서 교리와 신앙을 전파하면서 비롯되었습니다. 그 당시 노력의 결과로 영국성공회에 의하여 한국선교가 결정되고 1889년 11월 1일 영국런던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서 조선 교구의 첫 교구장으로서 고요한 주교(Charles John Corfe)가 주교 서품을 받고 동역자들과 함께 1890년 9월 29일 인천항에 도착하면서 한국 선교의 깃발을 올렸습니다.
선교의 시작 - 의료와 교육기관
이 땅에 첫발을 디딘 선교사들은 의료선교를 시작으로 서울이에 성베드로 병원과 성마태 병원, 인천 최초의 병원인 성누가 병원을 설립하였습니다. 그리고 고아원을 1893년 서울 정동에 설립하는 한편, 선교활동을 위한 성경 번역과 출판은 물론 신앙서적을 발간하는 문서선교를 전개하였습니다.
강화와 수원, 진천 등지에 진명학교 또는 신명학교로 불리는 초등 교육기관을 설립, 1914년에는 성직자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성미가엘신학원(현재 성공회대학교의 전신)을 설립하였습니다. 또한 수도회로서 성가수녀회는 1925년에 설립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1900년에 본격적으로 건축한 강화읍 성당은 전통적인 한국의 사찰형식을 빌려 온 최초의 토착화 성당이었으며 이러한 한국건축양식의 교회로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성당은 강화 온수리, 청주, 진천 등 여러 곳이 있습니다. 이러한 건축양식은 성공회가 처음부터 지켜왔던 토착화 신학의 표현이었습니다, 1919년 3.1운동에는 병천을 비롯한 각지역에서 성공회의 지도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40년에는 일제에 의해 모든 선교사들이 강제 출국을 당하는 비극과 함께 성미가엘신학원이 강제 폐교되는 수난을 겪었습니다.
1950년대 이후의 대한성공회
1945년 해방이후에도 이러한 어려움은 계속되었고 6.25동란을 겪으면서 6명의 성직자와 수도자가 희생되었고, 경제적인 고난을 겪었습니다. 1956년에 대한성공회는 새로운 교구장으로 김요한(John Daly)주교를 맞이하여 새로운 선교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째로 영등포와 강원도 황지에서 노동자들을 위한 봉사, 상담, 복지, 교육사업 등의 선교활동을 펴서 산업선교의 효시를 이루었습니다. 둘째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가입하여 일찍이 벌려왔던 교회일치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셋째로 전후의 어려운 사회상황에서 기아해방운동을 벌려 자활마을의 개척과 음성 나환자의 정착촌을 세우는 등 사회복지활동에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대한성공회는 1965년에 역사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서울과 대전으로 교구를 분할하고 최초의 한국인 서울교구장으로 이천환주교를 선출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교회가 한국인의 지도력 아래 한국의 교회로 새롭게 재편됨을 의미했습니다. 그리고 1974년에는 부산교구를 신설하여 세계성공회 안에서 하나의 독립된 교회로 공인되는 발판을 만들어 가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의 선교공동체
1970년대의 대한성공회는 반유신을 비롯한 민주화와 인권회복을 위한 선교와 함께 장애인을 위한 성베드로학교를 등 활발한 선교활동을 펼쳐 나갔습니다. 70년대와 80년대에 인권회복을 위한 집회와 다양한 민주화 프로그램의 중심이 되어 온바 있는 서울주교좌성당은 특히 우리나라 민주화의 분수령을 이루었던 1987년의 6.10 민주화항쟁의 시작점이었습니다. 대한성공회의 한 가운데서 시작한 민주화 운동은 전국으로 확대되어 갔고, 에큐메니칼 운동의 거룩한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1980년대에 주목할 만한 일로서 성공회가 펼쳐 온 선교활동으로는 나눔의집 운동을 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과거의 빈민선교나 도시선교와는 달리 스스로 마을 공동체를 조직하고 자활사업체를 조합형식으로 만들어가며 서로 가진 것을 나누어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선교활동입니다.
현재의 대한성공회
현재 대한성공회는 전국에 100여개 교회, 약 5만 명의 신자가 있으며, 3개 교구는 각교구를 중심으로 교회발전과 사회복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90년 9월 29일, 대한성공회는 선교 100주년을 맞아 “예수 그리스도, 겨레의 생명”이라는 주제 아래 겨레에게 생명을 전하고 민족의 평화 통일을 위하여 일하는 교회가 될 것을 다짐했습니다.
1992년 9월 29일 관구헌장 선포식을 갖고 1993년 4월 16일 초대관구장 취임식과 함께 독립 관구로 승격하면서 겨레에서 생명을 주고, 민족과 함께 하는 새 시대의 교회로 거듭나려는 대한성공회는 하느님께서 이루시는 참된 평화, 그리스도께서 열어젖히신 새 하늘과 새 땅, 성령님께서 이끄시는 희망이 넘치는 나라를 이루기 위해 여전히 힘차게 일하고 있습니다.
출처: 대한성공회 커뮤니티 '홀리넷' http://www.holynet.kr